|
현대적의미, 서울 :한국과학재단, 1997
박현모 : 세종의 수성(守成)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2006
이한우 :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 2006
이한우 : 세종, 그가 바로 조선이다, 동방미디어, 2003
이석제 : 나라와 백성향한 세종의 번뇌, 세종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전은 지금까지도 잊혀진 존재이다. 정도전에 재대로된 인물 평가와 그의 개혁 사상을 연구하여 조선시대 왜곡되어있는 정도전의 위상을 바로잡아야 할 때이다.
※참고문헌
≪정도전을 위한 변명≫ 『조유식』 ― 푸른역사
≪왕조의 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왕조 경국대전의 헌법적 의미, 단국대학교부설법학연구소, 2007
박준호 - 경국대전 체제의 문서 행정연구, 한국고문서학회, 2006
백선혜 - 경국대전의 기록관리 규정, 한국기록학회, 2007
신복룡 - 경국대전을 통해서 본 조선왕조의 통치 이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전기의 성리학 - 한국사 8, 9.
이태진, 조선성리학의 재평가 - 창작과 비평.
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삼인, 1998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일지사, 1998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홍덕기 「茶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9.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탐구
(4) 예학적 변용과 그 구현
(5) 인성(人性)·물성(物性)의 동이론(同異論)
2) 성리학에 대한 도전과 성리학의 응전
3) 한국 성리학의 특징
① 정주학의 절대 우위
② 주지주의(主知主義)적 경향
③ 예학(禮學)의 발달
④ 주리론(主理論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