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머리말
2. 조선 향토색론의 대두
3. 향토문예
4. 조선 향토색 논의
1) 조선향토색의 전개
2) 조선 향토색 논란
5. 아카데미즘으로서의 조선 향토색- 조선미전을 중심으로
1) 조선미술전람회의 성향
2) 조선미전에 나타난 조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향토색
4. 해방공간과 월북작가
Ⅲ. 우리 나라 현대미술의 흐름과 그 논리
1. 국전과 아카데미즘 미술
2. 반아카데미즘과 앙포르멜
3. 한국적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
4.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운동의 성과와 한계
Ⅳ. 80년대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표현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향토색, 조선취미 등으로 불리어지며 한국적인 미의 퇴색을 불러왔다.
*일본인의 시선이 반영된 조형작품들의 출현은 전통공예의 단절을 불러왔다.
4) 야나기 무네요시와 한국미
*근대적 관점에서 처음으로 ‘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5.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향토색을 요구하고 독려하고, 반도적인 것을 심사 기준으로 삼았던 1930년대 조선미전의 출품 경향들이 전형적인 예가 된다. 그러나 이는 실제에 있어서 일본 내지와 다른 후진적이며 열등한 외지로서의 지방색의 의미로 강조되어 나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미전,
그림은 인물·화조·산수 등 폭넓은 영역을 다루었으나 중심 영역은 무엇보다 인물에 있었다. 주로 인물 소재를 다루면서, 종전 스타일과는 다르게 선묘를 억제하고 서양화법의 명암과 원근을 적용하였다. 단순한 전통 화법의 계승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