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대응
가. 조일수호조약(1882년)
나. 일본의 한일합방시 미국의 태도
다. 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
라. 방공식별구역(ADIZ.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마. 한일회담시 미국의 개입
바. 미국 주요언론의 입장
2. 미국 군전문가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약체제와 일본의 이권 침탈
조선은 일본에 굴복하여 1876년 2월 27일 불평등조약으로서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을 시작으로 조일수호조규부록(朝日修好條規附錄)과 무역규칙(貿易規則)을 체결하여 부산, 원산, 인천의 3항구를 개방함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일관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한울아카데미, 한국현대사 연국회, 한국 근대사 강의, 1997 Ⅰ. 개요
Ⅱ. 개항의 과정
Ⅲ. 개항의 배경
1. 종속(從屬)체제
2. 1840-1860 년에 일어난 중국과 일본이 개항
Ⅳ. 개항과 흥선 대원군의 퇴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모리민언(1987), 강등신평, 중앙공론사
○ 박경희(1998),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일본사, 일빛
○ 석정관치 저, 조금안 역(1983), 일본경제사, 청하
○ 서동만 역(1989), 일본의역사, 이론과 실천, 정상청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약(박영효-태극기): 최초외국군대주둔허용
8월. 고종의 동도서기로 교서 - 척화비 철거
10월. 상민수륙무역장정 - “조선은 청의 속국이다”
1883
6월. 조일통상장정(개정) - 관세권, 방곡령 ↔ 최혜국 조항
7월. 보빙사(미) → 1887 박정양 미국공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