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 심전도에서 특징이 잘 안 보인다. 우심실 비대가 일어나면 심기전력은 우심실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우심실을 보고 있는 우측흉부유도(V1, V2)에서는 R파가 높고, QRS폭이 넓다. 좌측흉부유도(V5, V6)에서는 S파가 깊다.
[심전도소견]
①QRS: 우측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실비대, 좌심실 유출로 협착,
대동맥판 폐쇄 부전증 등에 의해
유발 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이 대표적 원인 1. 허혈성 심장질환의 정의와 원인 (p6-16)
(1) 협심증
(1-1) 협심증 종류
(2)심근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2.11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실중격결손(VSD), 폐동맥협착(PS), 우심실비대, 대동맥 기시(overriding aorta) 네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TOF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PS의 정도이며, 이에따라 임상증상, 수술시기, 수술 전 관리가 결정된다.
① 병태생리
- 이 결손은 큰 VSD로 인해 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실내에 있는 혈액량이 증가하면 박출량이 증가함
- 심근섬유들이 한계를 넘어 과도하게 신전하면 박동량과 심박출량 감소되고, 심실비대(ventricular hypertrophy)를 볼 수 있다.
2) 후부하
- 심실 수축기 동안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좌심실의 기능을 평가함으로써 관상동맥질환을 진단, 특히 판막질환이나 좌심실 비대 등의 해부학적 병변을 동시에 쉽게 관찰할 수 있음
- 운동스트레스 심초음파 검사 : 운동시 심근허혈 부위를 진단할 수 있음
- 운동을 할 수 없는 환자 : 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7.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