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식의 완숙기를 대표할 수 있는 석탑으로 각부의 비례가 아름다운 아주 뛰어난 탑이다. 기단부는 몇 장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대중석 각면에는 탱주 2주가 면석을 3분하고 있으며, 옥신과 옥개석은 각각 한돌로 되어 있다. 각층 옥신에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식(樣式)
1) 주심포양식(柱心包樣式)
2) 다포양식(多包樣式)
3) 익공양식(翼工樣式)
4) 절충양식(折衷樣式)
5) 소로수장(小累修粧)집
6) 장혀수장(長舌修粧)집
7) 민도리집
4. 주거건축(住居建築)
1) 주택의 변천
(1) 고구려의 주택
(2) 백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식
(1) 개관
ㆍ초기에는 통일신라의 건축수법을 계승
ㆍ고려중기에 주심포양식이, 고려후기에 다포양식이 각각 발생됨
ㆍ이 두가지 공포양식은 이후 한국 목조건축양식의 주류를 형성
(2) 주심포양식
ㆍ고려시대 중기 중국 송나라로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각지붕)
주심포양식(柱心包樣式)
다포양식(多包樣式)
익공양식(翼工樣式)
평방
창방
주두
소로
첨차
민흘림기둥
배흘림기둥
정평주초
덤벙주초
정자의 평면 형태에 따른 분류
난간 형태 명칭
살림집
각종 문의 명칭
--등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의 특징들을 혼용하면서 권위건축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을 계기로 침체되었다가 중기 이후부터 다포양식이 더 성행하였다. 따라서 의장무늬와 색채의 화려함이 더해져 더욱 다양한 단청이 선보여졌다 하겠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