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 있게 되어 자신감이 든다.
※ 참 고 문 헌
박 병 채 1 9 8 9 국 어 발 달 사 세 영 사
김 동 소 1 9 9 9 한 국 어 변 천 사 형 설 출 판 사
최 범 훈 1 9 8 5 한 국 어 발 달 사 통 문 관 1. 어휘의 특징
2. 조어법
3. 어형 변화
4. 의미 변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화되었다. 올라(<올아,登), 달름(<달음,異) 등이 이 예라고 할 수 있다.
◎ 자음 연접 규칙
중세 국어 후기에서 자음이 서로 연접할 때는 몇 가지 규칙을 따랐다.
첫째로 히읗은 평음 \'ㅂ, ㄷ, ㅈ, ㄱ\'과 연접되면 이들을 합하여 \'ㅍ, 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
Ⅰ. 머리말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 중 음운의 탈락, 음운의 도치, 활음조 현상, 복합적 관계로 인한 어형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Ⅱ.1. 음운의 탈락(脫落)
자음 탈락(子音脫落)
어떤 어절 안에서 원래 있던 자음(ㄱ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놋다, -닷다, -샷다\'의 \'-옷-\'도 감동법의 선어말어미로 추정되는데 이는 각각 선어말어미 \'-다-, -더-, -시-\'와 어말어미 \'-다\'사이에 \'-옷-\'이 나타난 어형이 것이다.
(19) 가. -도- : 나그내 시르믈 싶로믈 싶로미 잇도다 (杜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에서도 현대국어와 같이 접두사에 의한 파생은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일이 없어 서, 모두 \'어휘적 파생법 어근의 뜻만을 한정하는 접사를 한정적 접사라고 하며, 품사를 바꾸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라고 한다.
한정적 접사에 의한 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