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 살아 있음을 확인한 임홍빈(1980)의 논의도 현대국어를 바탕으로 하여 중세국어의 ‘-오/우-’를 찾아가는 데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주어 대명사가 화자 자신(1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어말어미에 대한 종래의 일반론에서 비롯된 해석으로 볼 수 있다. 선어말어미에 대한 종래의 일반적 해석에 대하여는 이승욱(1973:183) 참조.
이숭녕(1959)에서는 어간을 형성하는 ‘접미사’로서의 ‘-오/우-’와 활용 어미인 ‘prefinal ending’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머리말
2. ‘-오/우-’의 문법적 기능 규명
3. ‘-오/우-’의 문법적 성격
4.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4.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4.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5. 후행 어미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다-\' 공손법어미 \'-힝/힝-\'에 선행하고 다르 선어말어미에는 후행한다. 의도법의 선어말어미가 이들 어말어미들에 선행하면 화자의 강한 의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3.2 의도법의 의미기능
전형적인 후기 중세국어에 속하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