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다-' 공손법어미 '-힝/힝-'에 선행하고 다르 선어말어미에는 후행한다. 의도법의 선어말어미가 이들 어말어미들에 선행하면 화자의 강한 의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3.2 의도법의 의미기능
전형적인 후기 중세국어에 속하는 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적 흔적이 남아 있다.‘이요’에 대해서는‘이고’가 역시 쓰이고 있으며, 직접화법에서는 ‘이다’로 굳어졌다.
⑥ 현대어의 경어법에는 존경법과 공손법이 있다.
⑦ 통사론에서 외국어의 영향이 보인다. 가령 근대어에서 특수조사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18) ‘사???, 우???우??, 여름, 노피’은 중세국어에서 모두 명사로 쓰인 단어들이다.
(19)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 하나는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가 ‘??’ 하나로 통일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