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세국어 어말어미 중 ‘정동사어미(종결어미)’에 관하여
1. 들어가며
어말어미는 기능에 따라 셋으로 분류된다. 그것은 정동사, 부동사, 동명사를 이루는 어미들이다. 정동사는 대체로 경어법, 시상법, 의도법의 선어말어미들이 나타나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설명법에 속하는 다른 종결어미의 하나로, 화자가 청자에게 어떠한 행위를 할 것임을 약속하여 제시하는 약속의 설명법 종결어미 ‘-마’가 있다. 15세기에는 ‘-마’가 사용된 용례가 그리 흔치 않은데 이는 이 종결어미가 구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정리
4.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어미 \'-녀, -뇨(현재), -려, -료(미래)\'가 의문형을 나타냄
-공덕이 하녀 몬 하녀(많냐 많지 않느냐)
.중세국어에서 종결어미 \'-ㄴ다, -ㄹ다\'가 의문법을 나타냄. 2인칭 대명사와 호응
-네 엇뎨 안다
.간접적인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이익섭, 이상업, 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정경일 외(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1. 고대국어
1) 음운체계
2) 자음체계
3) 모음체계
4) 문법체계
5) 어휘체계
6) 표기
2. 중세국어
3. 근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