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의 /o/가 중세 영어에서 /d/로 변하는 경우와 반대현상도 일어났다. 그예로 faeom>fadme, weder>weather.
(2) 모음의 변화
첫째, 중세 영어 모음 중 장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중 문자 ee(queen), oo(food)를 자주 사용하였다.
둘째, 단음 u는 중세 영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어는 한층 더 발전했다.
중세영어 이후에 장모음에만 일어난 모음변화는 예스페르센에 의해서 처음으로 ‘대모음추이’ 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 예스페르센은 대모음추이가 개개모음의 독립적인 변화가 아니고, 모든 장모음이 관련된 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으로 변하여 현대영어에까지 이르게 된 과정은 단기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1400년경을 변화의 시발점으로 하여 1700년경에 이르는 동안 연쇄적으로 계속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대모음추이의 진행과정은 후기 중세영어에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추이에 의해 달라지고 난 결과 철자와 발음의 괴리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현대영어에서 볼 수 있는 철자와 발음의 괴리를 가져온 원인은 여럿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모음추이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음운변화는 그 원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추이에 의해 달라지고 난 결과 철자와 발음의 괴리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현대영어에서 볼 수 있는 철자와 발음의 괴리를 가져온 원인은 여럿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모음추이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음운변화는 그 원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