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단강도를 다루는데 있어 자연재해는 피할 수 없는 요인이지만, 설계·시공 상의 요인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1. 개요
2. 사면 붕괴원인의 종류
(1) 전단응력 증가의 원인(외적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반공학회, 116p
박노욱 외 2명, 2006, 태풍 루사에 의한 강릉 사천천 주변 퇴적환경 변화: 다중시기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정보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7권 1호.
심태섭 외 4명, 강우에 따른풍화토 사면의 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21.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면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공법
토사사면
암반사면
록볼트
(rock bolt)
강봉을 이용하여 암체들 서로를 연결시켜 암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
암반사면
앵커
(anchor)
앵커의 인장력으로 암반블록이나 토체를 안정된 지반에 고정하여 안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단시험에서 구한 강도정수(c , )는 다음과 같은 구조물의 해석에 이용
① 토압 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 계산과 안정해석
② 성토나 절토의 사면붕괴 및 활동 등에 대한 사면의 안정해석
③ 연약지반 위에 시공한 성토나 구조물의 기초파괴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면의 붕괴 형태
사면의 붕괴 형태는 붕락, 활동, 유동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1) 붕락(fall)
연직에 가까운 비탈의 일부가 낙하하거나 굴러서 아래로 떨어지는 현
상을 말하며 이 때 떨어지는 지반과 비탈사이에는 전단변위가 거의 없
으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1.05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