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 지진기록의 초동은 압축(상승)신호로 나타난다. 반면에 탄성에너지의 방출과 단층운동이 지진계와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면 지진기록의 초기운동은 팽창(하강)신호로 나타난다. P파의 초기운동은 지진계의 위치에 의해서 좌우됨을 알 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체파에 대해서
1. 실체파의 전파
2. 실체파의 속도
3. 표면파
4. 지진파 탐사법
1. 실체파의 전파
지진파는 지구 내부를 통과하는 실체파와 지표를 따라 전달되는 표면파로 크게 구분된다. 실체파는 물질의 압축과 인장 혹은 전단운동에 의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파란? 지진발생시 파동의 형태로 나타나는 탄성파
-파동이란? 진동이 매질을 따라 이동하는 것
-지진파의 종류
①실체파 : 지구내부를 통과
-p파 : 종파, 진행 속도 약 5 ∼8km/s로 빠르고, 고체, 액체 매질을 통과한다. 체적의 변화
-s파 : 횡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파의 종류
1. 실체파
2. 표면파
Ⅳ. 우리나라의 지진 현황
1. 지진발생 현황
2. 우리나라의 지진 안전성 진단
3. 지진관측 및 분석
1) 지진관측의 원리
2) 지진의 위치 결정
3) 진원시 계산
4) 규모계산
4. 우리나라의 지진관측망
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힘의 크기가 다르므로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기 위해 포아송비가 측정된다. 포아송비는 늘어난 물체의 횡변형률과 종변형률의 비로 정의된다.
이는 실체파(P파와 S파)의 속력을 기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지진파 속도는 매질의 탄성계수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