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도만가 :
만가는 사람이 죽었을 때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여 소리로, 남자들이 상여꾼이 되고 요령이나 북을 치면서 다른 지방과 달리 여자도 상두꾼으로 참여하고 만가의 반주로 사물악기가 등장한다. 진도에서는 씻김굿의 무가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도씻김굿보존회 현재까지도 진도에 가면 매주 토요일마다 진도 향토문화회관 대공연장에서 강강술래, 남도들노래, 씻김굿, 북놀이, 진도만가, 남도잡가, 진도아리랑 등과 함께 다시래기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c. 만가
만가는 상여를 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시라기의 본래 기능인 상여놀이로 상을 당한 상주를 비롯한 가족들에게 위로와 웃음을 선사한다. 그렇게 새롭게 태어난 아기는 ‘진짜’의 삶을 살길 기원하며.
각색 공연과 참고자료
진도 다시래기https://www.youtube.com/watch?v=2POtHTx3Kcw
https://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도군 회동과 모도 사람들은 풍어와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영등제를 지내고, 바다가 갈라지는 현장에서 이를 기리고 있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씻김굿, 남도 들노래, 만가, 진도 아리랑 등의 전통 민속과 중요 무형문화재를 시연하고, 이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도아리랑, 새타령, 강강술래, 농부가, 시나위, 판소리
3. 메나리조(동부민요) - 정선아리랑, 어랑타령, 옹헤야, 쾌지나 칭칭나네 등
4. 수심가조 (서도민요) - 수심가, 산염불
Ⅵ. 한국민요(민요)와 타령
Ⅶ. 한국민요(민요)와 강강술래(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