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장) 세계 여덟 번째 불가사의
(8장) 진시황릉의 보물을 찾아서
(9장) 시간의 흐름을 넘어서
(10장) 방문객들
(11장) 진시황릉 지하 궁전의 수수께끼
(12장)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생각
(13장) 항로에서 이탈한 역사의 흐름
읽고 나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의 암흑 상자를 열어주는 열쇠인 동시에미래의 갈 길을 밝혀주는 등대, 진시황릉위에 난의 <진시황릉, 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을 읽고
다시금 부상하는 중국, 어떻게 하면 알 수 있을까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 백태라고 했다. 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8.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했고, 현대에 접어들어서는 모택동이 신중국을 건립하였다. 그래서 모택동 사후 정권이 여러 번 바뀌었어도 모택동이 천안문중앙에 떡 버티고 있는 것이다. 성문은 모택동 사진이 걸려 있는 중앙의 큰문을 중심으로 양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시황릉\'은 진시황릉 발굴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좀 지루한 면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선택해주신 두 번째 책 \'스물날의 황토기행\'은 무엇보다 여행중 찍은 280여장의 사진이랑 40개의 지도가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시황제의 황릉
중국 산시성[陝西省] 린퉁현[臨潼縣] 여산(驪山) 남쪽 기슭에 위치한 시황제의 구릉형 묘.
동서 485 m, 남북 515 m, 높이 약 76 m이다. 《사기》 <진시황본기(本紀)>에 의하면 시황제 즉위 초부터 착공되어 통일 이후에는 70여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