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1. 진대(정부의 공식대여)와 창제도
2. 진휼(이재민구호 및 공공부조)
3. 납속보관(진휼을 위한 재정조달)
4. 구료(의료부조)
5. 사궁 및 노인보호사업(사회복지서비스)
*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0.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읽는 한국사, 푸른나무, 2002.
2.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1996.
3. 정연식, 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청년사, 2001. 1. 진휼제도
1) 진휼정책
2) 진휼기구
2. 의료제도
1) 의료시책
2) 의료기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휼하고 구료하기 위한 관설기관이다.
(3) 구급도감
심한 기근이 발생하였을 때 빈민뿐만 아니라 양반관료와 양반의 과부 및 군사, 승도에게도 미곡을 나누어 주기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된 기관이다.
(4) 해아도감
유아를 보호 양육하는 일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1.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휼을 하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민간에서 자선사업을 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이들은 주로 고려 후기에 나타났으며, 대표적인 인물로는 왕면 고려시대의 왕족.이름 면. 문종의 아들인 조선후 도의 증손. 공화후 영의 아들. 의종의 딸 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휼사 또는 구급경차관 등을 파견하여 그 실상을 조사하고 구료 등의 활동을 하게 하였다.
V. 민간의 복지활동
삼국,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국가는 비街창제, 구=견감, 환과고독 구휼, 구료/의료 등을 광범위하게 실시하였지만, 그 영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