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석
1.들어가기
2.향가 관련 용어 개념 정리
3. 향가의 성격
1) 基意甚高, 詞淸句麗
2)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3)羅人尙鄕歌者尙矣 蓋時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4.작품 분석
1.서동요
2.처용가
3.혜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陀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生死路
예 이샤매 저히고
나 가다 말ㅅ도 1. 서동요.
2. 제망매가
3. 찬기파랑가
4. 처용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가가 참요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가? 의 논점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그 노래와 설화가 어느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는가와 노래자체의 해석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나는 학자들마다 다른 세부해석에 얽매이는 것보다는 그 노래가 언급된 텍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가>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1995
辛思卿, 「處容歌에 대한 정신분석적 검토 - 라캉의 ‘主體意識(Subjectivity)이론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1996
金正, 「新羅下待社會와 <處容歌>의 性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가도 생명을 앗아가는 역신을 물리치는 노래라 하는 홍재휴(洪在烋) 교수의 설
15. 처용을 용신(龍神)과 역신(疫神)의 투쟁으로 보아 역신은 악신이고 용신은 선신이라 하여 처용을 선신격으로 승화시켜 악신구축의 설화로 설명하는 설(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