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상)
재 載(싣다), 裁(마르다), 栽(심다)
尙 嘗(맛보다, 일찍이), 賞(상, 상주다), 裳(치마), 常(항상)
槿(무궁화), 勤(부지런하다), 謹(삼가다), 僅(겨우), 覲(뵙다)
<기움, 2> 초성이 달라지는 경우.
<ㄱ, ㅎ>
干(방패, 간) 刊(펼, 간), 肝(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상 국수주의와 퇴폐예술사조의 배격 민족미술의 신건설 국제미술과의 제휴 미술의 인민적 계몽과 후진의 적극적 육성 등은 좌파 문화예술계의 지도적 이론분자였던 임화와 김남천 등의 진조적 민주주의민족문화론 이념에 기초하고 있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