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7건

서지학연구. 1991. 천혜봉. 나여인쇄술의 연구. 1979. 박상진. 다시보는 팔만대장경판 이야기. (주)운송신문사 영담스님 감수 진현종. 한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고려대장경 연구소 http://www.sutra.re.kr/ I. 서론 II. 초조대장경 III. 재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서지학연구’, 삼성출판사, 1991년 조선시대 판화전, 홍익대 박물관, 1991 이양재, <한국古版畵의 재인식>, 가나아트, 1992.5 이양재, <조선시대 고판화>, \'조선의 古版畵’, 1992 한국애서가 클럽, \'조선의 古版畵’, 비브리오 필리 5권, 1992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초조대장경』은 동양 최초의 거질의 대장경(570함 6천권)으로 고려의 초조가 매행 23행 14자 형식으로 정교하게 새겼으며 초조판과 개보판의 함차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3) 『속대장경』은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 촉판대장경(蜀版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1.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초조대장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중) 1)대장경을 간행하여 불력으로 국난타개를 발원하기 위하여 간행되었다. 2)동양 최초 거질의 대장경이다. 3)초조판과 개보판의 양자의 판화 위치 배치로 보아 번각임을 알 수 있다. 4)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1.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불타서 없어지게 되었다. 초조대장경이 불타서 없어진이후 다시 두번째 대장경이 조판이 되었다. 초조대장경의 소실이후 조판된 두번째 대장경을 재조대장경이라고 하는데 재조대장경을 다른말로 표현한 것이 팔만대장경이다 없음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