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ld type과 eyeless가 교배된 F1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
▶wild type과 eyeless 는 각각 전기영동 결과 밴드가 다소 흐리기는 하지만 분명히 보였고, F1 세대의 밴드도 확인할 수 있었다.
5. 논의
첫 번째 전기영동 결과가 정확하지 않았던 이유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초파리의 침샘 염색체는 상동염색체끼리 짝을 짓기 때문에 염색체의 결실, 중복이나 염색체의 역위, 전좌와 같은 염색체 변이를 분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위키백과-초파리과
http://ko.wikipedia.org/wiki/%EC%B4%88%ED%8C%8C%EB%A6%AC%EA%B3%BC
네이버 지식백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21.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초파리에 x선을 조사하여 처음으로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키게 하였다.
유전자 자체의 변화는 DNA의 이중나선을 횡으로 연락하는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의 배열이 변하거나 당과 인산의 나선이 잘라지면 일어난다. 박테리아의 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초파리의 염색체에는 반수체의 게놈 당 5150개의 띠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띠는 무작위적이 아니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띠 사이에는 간대가 있는데 띠와 간대의 차이는 DNA의 농도에 달려 있다. 즉 염색분체가 띠에서는 접혀 있는데 이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0.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NA의 염기배열까지 확인되었다 (사람게놈프로젝트, human genome project)
human genome project 결과 사람의 유전자 배열이 확인되었고, 지금은 다양한 생명체의 염기배열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 대장균, 효모, 초파리 등등
2) 유전체학
사람의 염색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