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유속측정법, 삼점법을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구해보았는데 여러 지점에서 측정한 값을 평균 내어 측정하는 일반법과 최대 유속을 이용한 최대 유속법의 평균유속은 오차가 크게 나지 않았으나 삼점법은 오차가 크게 났다.
피토관의 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6.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최대유속
5.08
5.08
4.64
5.08
5.50
5.50
5.08
5.50
5.50
5.50
NRe
6. 고찰
계산의 복잡함보다 많은 양의 계산이 버거웠다.
유체 국부의 선속도라는 새로운 개념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 유체 내의 국부 속도 측정
유체내의 국부 속도 측정이라는 큰 타이틀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토관 계수 고려 안했다.
: 피토-정압관은 동압측정 시 피토관 계수를 고려해 줘야 한다. 기존에 수두를 통해 구한 속도에 피토관 계수를 곱하면 더 큰 속도 값을 얻을 수 있고 연속방정식에 의해 유량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식은 이다.
(3) 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토관의 유속 와 벤츄리 메타의 유속 의 값이 같아야 하지만 약 3m/s만큼 차이가 났다. 위의 원인도 있지만 다른 원인을 더 추측해보았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 피토관은 한 직경(D=50mm)방향으로만 유속분포를 평균하고 있고 벤츄리 메타는 확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5.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최대속도는 높이 0mm에서 7.3m/s이고 최소속도는 높이 120mm에서 1m/s이다.
여기서 높이(mm)는 난류제트발생장치의 입구와 평행할 때 0mm이고 높이가 올라갈수록 피토관은 내려가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난류제트발생장치의 입구와 피토관이 가까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