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체 국부의 선속도라는 새로운 개념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 유체 내의 국부 속도 측정
유체내의 국부 속도 측정이라는 큰 타이틀을 가지고 부푼 가슴을 안고(?) 실험에 임하였다. 실험 중 부스터 펌프의 소음은 예상보다 훨씬 컸기 때문에 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도 더 커져서 피토 튜브와 오차가 생겼을 거라 예상했다. 또 다른 이유로 벤츄리 메타에서 눈금차를 읽을 때 오차가 있었을 것이다.
Pitot tube
Venturimeter
참고문헌
- 유량측정 프린트 물
- 네이버 지식백과
- 위키백과 실험일자
실험목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5.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체의 마찰에 따른 저항의 영향을 줄인다.
4) 피토관에서 마노미터와 연결되는 관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관내의 마찰을 줄인다.
5) 마노미터의 1mm의 측정오차도 매우 크므로 정밀 계측이 가능한 마노미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수두 차 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1,0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체의 경우 의 보정인자가 1 이므로
Pitot tube는 국부속도가 측정되므로 다시 평균유속으로 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굴뚝같은 직경이 큰 유로에서는 효과적이다.
3. 실험
(1) 실험장치
1,2,3,4: Flow ON/OFF 5. Gate valve 6. Globe valve
7. Ball valve 8.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도수두는 이다. 이때, orifice에 의한 축류현상으로 인해 줄어든 유체분류의 직경을 needle로써 측정하여 송출유량을 다음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이때, 는 축류부의 직경이다. 오리피스를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의 압력수두(h2)를 피토관으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