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향으로 흐르지만, 세포체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소멸되고 신경말단 부위로만 흥분이 전도된다.
유수신경의 수초는 지방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대단히 커서 축삭돌기에서 탈분극의 이동은 랑비에 결절에서만 일어난다. 그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돌기(axon)로 구성되고, 탈분극, 재분극, 이온재배치가 일어나는 랑비에 결절(Ranvier's node)이 존재한다. 랑비에결절에서 도약전도(saltatory conduction)가 일어나므로 흥분전도속도가 빠르다.(약 100m/s)
무수신경(unmyelinated nerve)
신경섬유(nerve fiber)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가는 신경말단은 도중에 군데군데 돌출되어 있으며 그 부푼 부위가 시냅스와 같은 기능을 한다.
신경세포의 활동을 보면 부교감신경은 절전섬유나 절후섬유나 다같이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작동하므로 콜린 작동성 뉴런이라고 하고, 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다. 신경세포와 거기에서 나온 돌기를 합친 것으로 자극을 수용하고 전달한다. 신경세포체와 수상돌기, 축색돌기, 랑비에결절, 신경초, 수초, 신경말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2)분지화: 신경돌기들이 나무줄기처럼 뻗어나가는 양상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축삭의 겉을 여러 겹으로 싸고 있는 인지질 성분의 막이다
나) 슈반초: 핵을 가지고 있는 막성 슈반세포가 수초의 겉을 싸고 있다.
다) 랑비에르결절 : 마디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유수신경에 있다. 이 랑비에르 결절에서 도약 전도가 있기 때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