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5건

어 장액세포들이 반달(demilune) 모양으로 보인다. 따라서 혼합샘에 나타난다. 주로 점액세포로 구성된 혀밑샘에 가장 많다. * Salivary corpuscles degenerating granulocytes & lymphocytes originating from tonsils & lymph noduless on the back of tongue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substance P (7) C(clear) cells - 비과립성 세포 - 예비세포/휴식세포 * 이자조직과 귀밑샘의 현미경적인 차이 1. 췌장섬(islet of Langerhans)이 있다. 2. 샘포중심세포(centroacinar cell)가 있다. 3. 지방세포가 거의 없다 4. 줄무늬관(striated duct)이 없다. 없음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사이관 소엽속관 소엽사이관 주 혹은 부췌장관 - 주췌장관 : 총담관과 합해져 총담췌장관 십이지장의 큰십이지장유두에 개구 - 부췌장관 : 췌장머리부분에서 만들어진 소화효소 십이지장의 작은 십이지장유두 에 직접 개구 ② 내분비선 a. 위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 분비관(secretory duct), 및 배출관(excretory duct)을 통해서 배출된다. 어떤 샘에서는 근육상피세포(myoepithelial cell)가 바구니처럼 싸고 있어서 분비물 배출에 관여한다. 3) 감각상피(sensory epithelium) -감각세포(sensory cell)가 존재하는 부위: 후각 미각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소엽으로 구분한다. 간소엽 중심부에는 중심정맥이 관통하고 각 모서리에는 간동맥과 문맥 및 담관이 들어가고 나오는 형태를 이루고 있어, 이를 흔히 문맥삼조라 한다. 간세포는 간소엽 내의 모세혈관 사이에서 서로 연접하여 2줄로 된 간세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