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ODA 정의
2. ODA 목적 및 동기
3. ODA의 역사
4. ODA의 지원 형태
5. ODA의 성과
6. ODA의 향후 과제
7. 첨부자료
- KOICA 대외무상원조 실적 통계_분야별 총괄
- KOICA 대외무상원조 실적 통계_지역별 총괄
- KOICA 대외무상원조 실적 통계_사업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1.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발협력 2010년 3호
한승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 개선방안 연구, 2015,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https://url.kr/oTObIL
2017년 ODA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박정호, 김은주, 2017,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코이카 국별협력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발 도상국에게 많은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빈곤을 줄어들게 만들고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2> 앞으로의 ODA
-) 매회 서울에서 열리는 ODA회의는 각국을 대표하는 인사들이 참여한다. 대부분의 컨벤션은 일정이 끝난 후 짧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리나라가 공적개발원조(ODA)의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그 지위가 바뀐 것은 불과 10여년에 불과하며 더욱이 또 다시 국제금융기구의 원조를 받는 처지가 되기도 하였다. 국제외환위기를 빨리 극복하고 선진국으로 재진입 할 수 있는 기틀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DA의 시행체계를 일원화하기 위해서는 유상원조와 무상원조를 통합한 (가칭) 「국제개발협력법」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 법안에는 공적개발원조(ODA)의 목적, 기본이념, 기본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주무부처, 부처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