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결팔이 거의 다 이루어지지 않아서 자극에 반응하는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1. 근-신경 접합부의 구조
2. 신경근 접합부의 생리
3. 근육 수축의 생리
1) 근육은 신경의 자극에 반응한다
2) 근육의 길이와 근육의 장력의 관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향으로 흐르지만, 세포체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소멸되고 신경말단 부위로만 흥분이 전도된다.
유수신경의 수초는 지방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대단히 커서 축삭돌기에서 탈분극의 이동은 랑비에 결절에서만 일어난다. 그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분극하면 정상심전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QRS군에 의해 감추어지기 때문이다.
2) PR간격(PR interval)
심방의 탈분극 초기에서 심실의 탈분극 초기 시간을 나타낸다. PR 간격은 P파와 PR 분절을 포함하고 심전도의 등전성으로 방실결절 전도와 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위를 과분극 시킴에 따라사 동방결절에서 활동 전위의 빈도를 낮추고, 방실결절에서의 지연속도도 마찬가지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심방 수축세포들의 활동전위를 약화시키게 되는데, 칼슘의 투과성이 약해짐에 따라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동전압이 발생된 바로 옆 안정부분의 막 전압에 영향을 미쳐서 이곳도 탈분극 시키고 같은 방식으로 다음 부분도 Na+에 대한 문을 열어주어 활동전압을 유발 한다
*활동전위: 자극
신경섬유와 근섬유는 막전위를 가지고 있고 활동전위라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