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의 구조와 해부 생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의 구조와 해부 생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심장
2.심장의 구조와 혈액의 흐름
3.해부
4.순환
-순환의경로
5.심장의 전기생리
6.심장주기
7.심장기능의 조절
8.심전도

본문내용

막이 닫힘과 동시에 혈액이 판막벽에 부딪침으로써 생긴 진동음이다. 방실판막의 폐쇄부전 또는 협착증이 있을 때는 제 1심음은 제 2심음이 들릴 때까지 계속해서 들린다. 제 2심음은 심실확장기의 시각 직후에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이 닫힘으로써 일어나는 진동음이다. 대동맥과 폐동맥 판막의 파손이 있을 경우 제 2심음이 계속해 나타나 다음 심장주기의 제 1심음이 일어날 때까지 이어진다. 제 3심음은 아주 약하고 짧은기간동안 나타나며 대동맥궁의 구부러져 있는 부위에 혈액이 부딪침으로써 발생된다고 추측된다.
7.심장기능의 조절
운동시에는 혈류량이 7~8배 증가할 수 있다. 혈류량의 증가는 심장박출량, 심장근의 수축에 따른다.
1.반복흥분의 주기
1)온도: 동방결절의 온도가 올라가면 박동수가 증가한다. 온도가 1도 올라가면 박동수는 2~2.5배로 증가한다.
2)이온의 작용: 외액의 나트륨 이온을 감소시키면 역전부가 작아지고 전전압의 경사도 완만하게 되어 자동흥분의 간격이 연장된다. 퍼킨제 섬유에서는 외액의 칼슘 이온을 증가시키면 발화수준이 상승한다. 칼슘량을 4배로 하면 약 8mV 상승한다. 나트륨과 칼륨은 길항적이다.동방결절세포에서는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면 발화빈도가 증가한다.
3)화학물질의 작용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이 많이 분비된다. 심장박동수 증가효과, 심근수축력 강화의 효과를 가진다. 신체가 스트레스나 위험한 상황에 처하면 에피네프린또는 노어에피네프린 분비가 증가되어 박동수가 증가하고 수축력도 강화되어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며 혈액이 기관 및 근육에 공급된다. 그러나 아세틸콜린은 심박동수를 감소시켜 심박출량을 감소시킨다.
2.Starling의 심장법칙
심장의 1회 심박동량은 동맥혈압에 관계없이 정맥으로부터의 유입량에 의해 결정된다.
1회 심박동량은 정맥압이 높을수록 많다. 또한 심근은 길이가 길어질 때 큰 장력을 발휘한다. 심장으로 들어오는 유입량이 증가할 때는 심박동수를 증가하기 보다 확장말기용적이 증대되어 1회 심박동량을 증가시켜 박출량을 늘린다.
3.자율신경 효과
자율신경계는 심박동수, 전도속도, 심근수축력, 혈관평활근에 영향을 미친다.
1)심박동수의 자율신경계 효과
교감신경의 흥분은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부교감신경 흥분은 심박동수를 저하시킨다.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의해 심박동수가 조절된다. 교감신경섬유는 흉곽의 척수에서 나와 동방결절, 방실결절, 심방, 심실에 분포되어 있다. 교감신경 전달물질인 norepinephrine으로 박동수 증가와 수축력 증가의 효과를 가진다. Norepinephrine은 심박동수 증가, 심방과 심실의 수축력 증가, 방실결절로 전도속도 증가가 일어난다. 부교감신경은 연수에서 기시되어 동방결절, 방실결절, 심방에 분포되어 있다. 박동수와 수축력이 감소되며 부교감신경이 자극되면 미주신경 말단에서 acetylcholine이 방출되어 norepinephrine과 상반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8.심전도(Electrocardiogram)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반영하는 미묘한 전압차를 신체표면에서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심장의 재분극과 탈분극의 순서와 시간 때문에 측정할 수 있다. 심근은 한번에 탈분극하지 않으며 심방이 탈분극하고 난후 심실이 탈분극하는 정확한 순서에 의해 일어나며, 심실이 탈분극하는 동안 심방은 재분극을 일으키고 정확한 순서에 의해 심실이 재분극을 일으킨다.
결과적으로 심근에서의 탈분극과 재분극은 차례에 일어나며 전위차는 심장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데 , 이를 신체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감지할 수 있다.
1) P파(P wave)
심장의 탈분극, 심방을 통한 전도시간과 상관관계가 있는데, 예를들면 심방을 통과하는 전도속도가 저하되면 P파는 퍼지게 된다. 심방이 재분극하면 정상심전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QRS군에 의해 감추어지기 때문이다.
2) PR간격(PR interval)
심방의 탈분극 초기에서 심실의 탈분극 초기 시간을 나타낸다. PR 간격은 P파와 PR 분절을 포함하고 심전도의 등전성으로 방실결절 전도와 연관되어 있다. 정상적으로 PR 간격은 심방의 처음 탈분극에서 심실의 처음 탈분극까지의 중복시간을 말한다. 방실결절을 통과하는 전도속도가 증가하면 PR 간격은 저하되고(교감신경 흥분) ,방실결절을 통과하는 전도속도가 저하되면 PR간격은 증가한다.(부교감신경 흥분)
3) QRS군(QRS complex)
QRS군은 Q,R,S 세 개의 파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런 파형은 심실의 탈분극을 나타낸다, QRS군의 총 기간은 P파 기간과 비슷하다. 이는 심실이 심방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심실은 심방처럼 아주 빠르게 탈분극을 일으키는데, 심실의 전도속도는 His-Purkinje계에서 심방전도계보다 훨씬 더 빠르기 때문이다.
4) T파(T wave)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낸다.
5) QT간격(QT interval)
QRS군과 ST분절, T파를 포함하고 있으며 처음 심실탈분극에서 마지막 심실 재분극까지를 나타낸다. QT 간격에서 ST 분절은 등전성을 나타내고 이는 심실의 활동전압의 고원기와 연관되어있다.
심박동수는 QRS군이 나타난 숫자를 /분(min)으로 환산한다. 주기길이는 PR 간격으로 심박동수는 다음과 같이 주기길이와 관련되어 있다.
심박동수=1/주기길이
심박동수의 변화는 활동전압의 변화를 뜻하며 결과적으로 불응기와 흥분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심박동수가 증가하면 활동전압 기간이 저하된다. 시간 당 활동전압이 더 많이 나타날 뿐 아니라 활동전압이 좀 더 짧아지고 좀 더 짧은 불응기를 가지게 된다. 심박동수와 불응기의 관계에서, 심박동수의 증가는 부정맥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심박동수가 증가하고 불응기가 짧아지면 심근세포는 조기에 흥분하게 된다.
♠참고문헌♠
인체해부학 현문사
이성호, 김귀숙 외 공저
인체생리학 현문사
이강이, 김순이 외 편저
http://www.soaheart.com/sub01_02.htm
http://wmbgs.bucheonsi.com/sim2.htm
http://bio.123study.org/study/BIOLOGY/4/4-1/4-1-3.htm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3.1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