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림 10> 작업 형태별 크레인 사망재해
2.3.9 작업내용 원인별 재해발생 현황
작업내용 원인별로는 줄걸이 작업방법 불량 22명(37%), 줄걸이 보조기구 불량 12명(20%), 신호수 작업방법 불량 8명(13%), 와이어로프 등 파단(11%), 훅크 해지장치 불량(10%)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해 국민참여 조사위원회 공청회를 통해‘원·하청’ 고용관계의 개선과 원청의 하청노동자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동해, 「조선업 중대재해 조사위 \"다단계 재도급 원칙적 중단해야\"」, 『뉴스1』, 2018.04.24.
더 구체적으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매년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태풍은 건설현장도 여지없이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지난해 태풍매미로 인해 전국적으로 총 52대의 타워크레인이 전복되었다. 당시 사고를 당한 타워크레인의 대부분은 노조에서 예전부터 요구해 온 ‘외벽 지지고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해 = 공중재해, 에너지 → 제3자)
Ⅰ형-c : 크레인의 하물이 떨어져 밑에 있는 기계류를 부수는 경우
(에너지 → 물)
나. Ⅱ형
사람
E
Ⅱ형 : 에너지의 활동구역에 사람이 침입하여 발생
예 : 동력운전기계에 의한 재해, 감전 및 화상에 의한 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크레인 사용을
해야 하지만 그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에어컨 하단에
바퀴를 달아 끌어서 옮김 → 옥상 전체가 치명적 손상 1. 건설안전의 정의
2. 건설안전의 대상
3. 건설안전의 특징
4. 건설 재해동향
5. 사고사례 및 분석, 대책
6. 결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1.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