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英祖代(영조대) 初半(초반)의 蕩平策(탕평책)과 蕩平派(탕평파)의 活動(활동)」 정만조 1. 서 론
2. 본 론
(1) 탕평이란?
(2) 영조의 즉위와 탕평책의 모색
1) 즉위초 탕평책의 대두
2) 노론정권하 탕평책의 시도
3. 결 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서 발표→오히려 편당적인 조처로 정국 불안
2) 이인좌의 난 :소론과 남인의 일부 강경파는 영조의 정통을 부정하고 노론 정권에 반대
3) 이인좌의 난 계기로 붕당 간의 관계 조정
① 탕평파 중심으로 정국 운영
② 붕당의 뿌리 제거 노력 :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평파를 키워 정국을 이끌어나갔다. 또한 남인과 북인은 영조년간 정치판에서 소외지로 밀려나 있었지만, 그래도 남인 채제공이나 북인 남태회 같은 소수 인물을 특지로 발탁하여 키우는 노력을 보였다. 반면 정조는 노론·소론·남인·북인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평파를 등용하고 여러 당파의 인재를 고루 등용하는 등 정치적 균형을 도모했다. 하지만 즉위한 뒤 소론을 숙청한 후에 왕위 정통성과 정당성 확보 차원에서 노론을 등용하는 등의 편당적인 면을 보인다. 이렇게 되자 정계에서 실각된 소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평파 육성, 산림의 존재부정, 서원의 정리, 이조 전랑의 후임자 천거제도폐지→ 정치권력은 국왕과 탕평파 대신에 집중
(3) 영조의 치적
① 균역법실시(1750), 군영정비(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이 도성 방위)
② 악형폐지: 사형수에 대한 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