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 남중과 남중 시각 사이의 시간 간격이 정확하게 24시간이 아니라는 것도 처음 알았고, 그랬기 때문에 균시차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전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우선 일영곡선을 관측할 때 나침반이 있어도 정북 방향을 잡기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향 반대, 메탄의 대기
위상변화, 일식월식
가장 큰 태양계 행성, 가장 많은 위성개수, 대적점
※행성의 조건
1.태양 주위를 돌아야 한다.
2.충분한 질량과 중력을 가지고 있어
球(구)의 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3.해당 구역에서 가장 지배적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양궤적도와 음영각분도기를 이용하면 쉽게 설계 할 수 있다.
1) 차양의 종류에 따른 음영마스크
(1) 수평형 차양 : 수평차양은 수직음영각(ε)에 의해 결정되며, 차폐면적은 활모양의 곡선에 의해 나타나 는 면적이다.
(2) 수직형 차양 : 수직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양 고도 측정기>
<각도기>
<지평면>
<태양방향면> <태양>
<제작순서>
① 위의 전개도를 가위로 자른다.
② <지평면>과 <태양방향면>의 음영 영역을 칼로 자른다.
③ <태양>을 <태양방향면>에 붙임후, &l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양의 방향과 관계없이 어느 쪽 하늘에서나 관측이 가능하고, 태양의 반대쪽에 있기 때문에 보름달처럼 둥글게 보인다. 외행성이 가장 밝게 보이는 위치는 충 거리와 위치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변한다.
⇒ 외행성의 경우 지구와 태양을 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