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건

。) 자등은 달인 즙을 볶아 복용하니 수음병을 내린다. 大豆黃卷 콩나물 (除胃中熱,消水病脹滿。同大黃醋炒,爲末服。) 대두황권은 위 속의 열을 제거하니 수병 창만을 소멸케 한다. 대황과 함께 식초로 볶아서 가루내어 복용한다. 蕎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산후에 자장을 거두지 못함에 피마자를 찧어서 단전에 붙이면 중지한다. 此藥外用屢奏奇勳,但不宜內服耳。 이 피마자 약은 외용으로 자주 기묘한 공훈을 주효하니 단지 내복에는 의당하지 않을 뿐이다. 택칠 감수 속수자 낭탕 피마자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또한 간담만 홀로 치료함이 아니다. 其脾胃肝腎虛寒,陰水泛濫,犯之立斃,不可不審。 비위와 간과 신의 허한증, 음수가 범람함에 범하면 곧 죽게 되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野狼毒 야낭독 防葵 방규 䕡茹 여여 大戟 대극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속수자의 껍질을 벗기고 백색을 취하여 눌러 기름을 제거해 사용한다. (時珍曰續隨子、大戟、澤漆、甘遂,莖葉相似,主療亦相似,長於利水,用之得法,皆要藥也)。 이시진이 말하길 속수자, 대극, 택칠, 감수는 줄기와 잎이 서로 유사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속수자 (痰飮 宿滯) 속수자는 담음 숙체를 치료한다. 牽牛 견우자 (痰飮 宿膿) 견우자는 담음과 숙농을 치료한다. 大黃 射干 桃花 대황 사간 도화 (宿水痰飮積滯,爲末水服,或作餠食,取利。) 대황, 사간, 도화는 숙수담음적체를 치료하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