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사, 그 이후
조선통신사는 열두 차례의 사행으로 끝나게 되지만 그 이후 항구가 개방되고 일본과 국교가 재개되면서 조선의 사신들이 일본을 방문하는 기회가 생기고 기행록도 저술된다. 이 시기에는 사행단의 이름도 수신사(修信使), 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신사는 1764년을 마지막으로 에도에 들어가지 못했으며 일본에선 이후로 정한론적인 사고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 1811년 쓰시마를 끝으로 조선은 더 이상 통신사를 보내지 않았다.
-그런데 1860년대에 들어서게 되면서 일본에서는 조선과 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보다 전에 동래부사 洪文泳은 막부장군 德川家治의 사망 사실을 조정에 보고했는데, 이것을 바탕으로 1786년 10월 11일에 당시 호조판서 鄭一祥은 통신사에 필요한 禮單蔘 준비에 착수해야 한다고 조정에 진언한 바 있다. 『通信使草謄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4.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독일반세기의 역동성-백산문화
전수태, 북한의 우리말 의미연구자료집 - 국립국어연구원
참고 논문
독일 통일 이후의 언어통합과정 연구*
김영길/김원/하수권/정진명/(이상 부산외대)/J. Muller(전남대)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5.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신사가 가는 곳의 정경이나 의례 장면을 그렸다. 마상재는 본래 임진왜란 때 시작된 것으로 기병들이 말 위에서 재주를 부리는 무예다. 인조 때 일본의 사절로부터 마상재인을 보내달라는 요청이 있어 시작되었고, 그 이후 통신사가 일본에
조선통신사 역사, 유래 배경, 조선통신사, 유래, 역사, 배경, 파견 목적, 파견 절차, 파견 당시 일본의 상황, 폐지 이유, 조선통신사 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