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구 전체가 앞밭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16b), 일부분이 이동할 수도 있다 (16c).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한정사구 분리현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몇몇의 제약조건을 보이고 있다.
3. 독일어 한정사구의 구조
FUKUI (1986)와 ABNE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와 문법
Ⅴ. 사잇소리현상의 유형
Ⅵ. 사잇소리현상의 특징
1. 예외가 많다
2. 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사잇소리 현상의 유무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4.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한자어가 많다
Ⅶ. 사잇소리현상의 표기
1.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리성0
다른 범주에도 결합 가능
ex)갓 스물, 갓 태어나다
결합범주가 명사성을 띄고 있어야 함
ex)새 모자, 새 만들다(x)
의존 형태소
자립 형태소 1. 말본의 얼거리
2. 말본범주
3. 말본의 형성배경
4. 북한의 말과 글
5. 형태소와 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와 마찬가지로 ‘이 \' ‘뎌 \'가 문장 속에서 부사어라는 한 성분으로 쓰여 오는 과정에서 통시적으로 단어화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어화 결과 이들의 품사는 명사가 아니라 그들이 문장 속의 성분으로 가지는 범주인 ‘부사구\'의 단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일어의 동사
Ⅳ. 독일어의 방향전치사
1. 트인 공간 / 막힌 공간
1) 트인 공간
2) 막힌 공간
2. 주변보다 높은 공간
3.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공간
4. 경계공간
5. 순수 방향전치사
6. 공간의 목적
Ⅴ. 독일어의 한정사구 분리현상
1. 일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