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될 서식을 확인하고자 나에게 가지고 오는 것이었다. 1. 파생어
1.1 접두사
1.1.1 접두사의 종류
1.1.2 접두사와 관형사
1.2 접미사
1.3 특수 파생어
1.3.1 영파생
1.3.2 내적변화
1.3.3 파생접사와 어미
1.3.4 어휘화
2. 접사 “-자”의 용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례
비고
명사
가(갓-)
못생긴
갓
용례 없음
갈-
무늬가 있는
갈지게(黃鷹)
단일어로 처리
곰--
곰-외
곰달래, 곰취
가
반, 중간
가
단일어로 처리
-
배가 희다
-가마괴, -거 Ⅰ. 단어의 종류와 조어법
Ⅱ. 15세기 국어의 조어법
2. 1. 접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어나 합성어를 형성하는 성질
에 의지하는 경향이 크다.
예) ‘눈물’, ‘콧물’, ‘빗물’ 등은 이들 낱말의 조어 과정에서 기본 요소인 ‘물’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눈’, ‘코,’, ‘비’ 등의 낱말과 각각 결합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사의 기능과 형태 범주」 언어, vol.27, no.4, (2002), 683-702.
박재연. 「한국어 어미 결합에서 나타나는 비합성적 의미 해석」. 언어와 정보 사회, vol.26, (2015), 215-250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의 어근과 접사
2. 합성어와 파생어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다->죽다/ 광음->세월, 시간/ 보릿고개->농촌의 식량 사정이 가장 어려운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 파생어의 정의
2. 파생어의 유형
(1) 접사에 의한 방법
(2) 접사에 의하지 않는 방법
3. 합성어의 정의
4. 합성어의 유형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2.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