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이나 족보 등은 주로 사각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방각본’은 상인이 영리를 목적으로 간행하여 판매하던 책을 말한다.
판각본의 판종으로는 목활자본, 목판본, 토판본, 석판본, 연활자본 등이 있다. 목판본은 나무판에 글자를 새겨서 찍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각본이나 활자본의 경우보다 원작자 및 필사자의 개성 같은 것이 비교적 충실하게 보존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사 시기도 많이 소급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
2. 판각본
● 판각본
나무 흙 돌 등으로 판을 만들어 그 위에다 글씨 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각본전집2』,「유충렬전」, 인문과학연구소, 1974,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 연구』, 일조각, 1972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3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995
*김흥국, 『한국고전소설 해제집 下』, 보고사, 199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각본·필사본·활자본 존재
(1)판각본-완판본만 존재, 상·하 도합 86장
(2)필사본-<유충렬전>의 다양한 漢字 존재
→ 많은 개인 소장본
(3)활자본-많은 소설 독자 확보 증명
3.작품의 줄거리와 내용 분석
(1)줄거리
(2)실제자료 해석하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07.07.1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각본전집」, 김동욱 편(1981), 고소설판각본전집(1-5),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활자본 고전소설전집」, 동국대 한국학연구소 편(1976), 활자본 고전소설전집(1-12), 아세아문화사.
「필사본 고전소설전집」 김기동 편(1980), 필사본 고전소설전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