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심방이 없는 상태이므로 폐정맥 환류이상이 흔하다. 또 방실 중격 결손이 대부분의 예에서 동반되고 폐동맥 협착과 폐쇄가 많다.
좌측 대칭형은 좌우가 모두 왼쪽에 닮아 비장이 여러 개 있고 폐장이 좌우 2엽씩이다. 좌우측 심방이 모두 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의 선천성 협착은 판막이 두껍고 판막륜이 작은 경우로 좌심 발육 부전에서 동반된다.
동맥간(common arterial trunk: truncus arteriosus)은 대동맥과 폐동맥이 하나의 혈관으로 심실에 연결된 기형이다. 좌우 폐동맥과 관상동맥이 모두 상행 총동맥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심실 유출로 혹은 판만에거 혈류에 대한 저항은 우심실 비대를 유발한다. 심한 폐동맥협착으로 우심실 압력이 상승되어 참첨판을 통해 우심방으로 혈액이 역류되어 우심방 압력을 높여 난원공을 열리게 해서 혈액이 우심방좌심방으로 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각각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여 심장 운동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관상 혈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심방과 심실 수축의 시간차를 갖는데 필요한 전기 절연체 역할도 한다.
-중앙에 대동맥판이 있고 후하방으로 승모판과 삼첨판이 있으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방이나 심실 사이에 구멍이 있어 동맥
혈액과 정맥혈액이 섞여 생존할 수 있다
- 삼천판 폐쇄
: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가는 삼첨판막이 완전히 막혀 있는 기형으로 우심방의 혈액이 난원공이나 심방중격 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가서 폐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