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소리 유파의 성립
2. 판소리의 유파
(1) 동편제의 전승계보
(2) 서편제의 전승계보
(3) 중고제의 계보
(4) 보성 소리
(5) 강산제(江山制)
3. 유파별 음악적 기법
(1) 동편제의 음악적 특징
(2) 서편제의 음악적 특징
(3) 중고제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의 개념
Ⅲ. 판소리의 기원
Ⅳ. 판소리의 유파
1. 동편제(東便制)
2. 서편제
3. 중고제
4. 강산제
Ⅴ. 판소리의 작품
1. 다섯 마당(오가)
2. 여섯 마당
3. 열두 마당
Ⅵ. 판소리의 조
Ⅶ. 판소리의 판소리론교육
Ⅷ. 판소리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의 어원
▶ 판소리란 무엇인가?
▶ 판소리 12마당
▶ 판소리의 내력
▶ 판소리사
▶ 판소리의 창법과 유파
▶ 판소리의 가창 방법
▶ 판소리의 구성과 문체 : 부분의 독자성
▶ 판소리의 사회의식
▶ 판소리의 발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의 문학적․ 연극적 특질
① 판소리의 공연 예술적 특성
② 판소리를 중심으로 본 한국의 연극적 공연 양식에 있어서의'공소'와 공연자 -
11. 판소리의 음악적 측면
① 음악으로서의 판소리
② 판소리의 유파
③ 판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는 원래 한 사람의 배우가 작품 속에 나오는 모든 인물의 구실을 도맡아서 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근세 개화의 물결을 타고 들어온 서구식 연극이나 가극의 영향을 받아 이른바 배역(配役)이라는 새로운 무대 형식이 성립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