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 평주, 고주, 활주
■평주 : 기둥이 한 층 높이로 된 것.
■고주 : 고주는 한 층에서 일반 높이의 기둥(평기둥)보다 높아 동자주를 겸하는 기둥.
■할주 : 추녀뿌리를 받친 기둥으로 단면은 원형 또는 팔각형이 많다.
▣ 온돌이란?
■ 아궁이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져 있다. 공포는 평주와 고주에 모두 같은 양식으로 짜여져 있으며, 익공의 형태는 물익공이다. 공포는 현재 운현궁 건물에는 노락당에만 구성되어 있다.
6. 가구법
가구는, 몸채는 전·후퇴칸이 구성되는 건물에서 통상적으로 보이는 것처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주 2량으로 이웃한 삼을암이 팔작지붕인 것에 비하여 하사당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온돌방의 천장은 종이천장이고 부엌은 연등천장이므로 내부가구는 드러나 있다. 대들보는 툇마루와 방 사이에 세운 고주에서 후면의 평주에 걸쳐 통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웅전 바로 뒤에 있으며 대웅전과 방향이 같은 동남향이다. 문수전의 기단은 자연석을 다듬어 쌓고 덤벙주초를 사용하였으나 기둥에는 배흘림이 거의 없는 민흘림 형식의 평주로 되어 있고, 공포는 주심포 양식으로서 지붕의 좌우에는 할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주(高柱)와 평주(平柱)를 잇는 퇴보, 고주간을 맞잡는 대들보 등의 직선재(直線材)와 이들을 지탱하는 다분히 장식적인 포대공(包臺工), 그리고 곡률(曲率)이 큰 우미량(牛眉樑)들이 이루는 조화와 이들이 흰 벽을 구획한 세련된 구도는 한국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