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전
2.3 한글
2.3.1 훈민정음
2.3.2 훈민정음 제자 원리
2.3.3 한글의 특징
2.4 한자
2.4.1 한자의 문자적 특성
3. 표기법
3.1 차자표기법
3.1.1 구결
3.1.2 이두
3.1.3 향찰
3.2 한글 표기법
3.3 외래어 표기법
3.4 로마자 표기법
4. 나가며
|
- 페이지 8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찰 문자 체제인 것이다.
Ⅲ. 결 론
지금까지 한자 차용표기법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두, 구결, 향찰의 의미와 차이점 등을 예를 들어 자세히 알아보았다.
훈민정음 이전에는 차자 표기법, 문법 형태소 적기 등으로 한문을 차용하여 표기하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 (차자표기: 한자의 뜻과 음을 빌려 표기하는 방식)
(1)이두
(2)구결
(3)향찰
(4)고유명사표기
2. 한글 표기법의 변천
(1) 중세 국어 표기법
1) 15세기
2) 16세기
(2) 근대 국어 표기법
(3) 개화기 표기법 / 일제시대 표기법
(4) 한글 맞춤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찰에 와서 그 난숙기에 다다른다. 〈서동요〉·〈혜성가〉가 진평왕대(579~631)의 작품이므로 7세기경에는 그 표기법이 고정된 것으로 추측된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뒤 쇠퇴하기 시작했으나 소송문·고시문·보고서 등의 관용문서에는 조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구결과 이두의 다른 점
4) 구결의 구체적 자료
5) 구결의 내용
(4) 향찰(鄕札)
1) 향찰의 구체적 자료
2) 향찰의 소멸
4. 한자 차용 표기법의 한계: 한자 빌어쓰기에 실패한 이유
(1) 쓰인 범위의 좁아짐
(2) 서로 다른 길을 밟은 이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