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재의 기체 건조/습윤상태를 고려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산정
3.8 잔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 제작방법
플로우콘을 사용하여 잔골재가 젖어 있을 때는 플로우콘을 떼어내도 형이 무너지지 않지만
건조하면 쉽게 흐트러진다. 형상이 무너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면건조포화상태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위 시행에서 확인된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잔골재를 500g 이상 채취한다.
측정한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채운 다음, 플라스크를 시멘트 비중실험 때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기포를 모두 없애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태의 모래 1,000g을 절대건조상태로 만들었더니 940g이 되었다. 이 모래의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중량이 960g이라 한다면, 이 모래의 표면수량과 흡수량은 얼마인가?
4.9 해사, 부순돌, 고로슬래그 골재에 대하여 아는 바를 써라.
4.10 콘크리트용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면적이 4~5조 보다 크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다른 것은 1~3조의 골재의 내부 밀실함이 4~5조의 밀실함보다 떨어진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크기에 의한 표건상태의 질량의 차가 없다는 것을 볼 때 그런 생각을 해보았다.
그리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골재로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고 본다.
표면건조 포화상태를 만드는 과정은 신문지로 굵은 골재의 표면을 문질러 표면의 표면수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은 굵은 골재가 공기 중에 노출이 되어있었기 때문에 공기 중 건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1.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