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주 방언의 통사론적 특징
1) 제주 방언의 어미
2) 제주 방언의 격조사
2. 제주 방언의 어휘상의 특징
1) 지역 특수 어휘
2) 의미의 세부적인 차이가 드러나는 어휘
3) 지시대상은 다르지만 명칭이 통합된 어휘
4) 고어(古語)의 잔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학” 민음사.
장향실(2003) “탈권위 시대의 방송 언어―방언의 지위 변화를 중심으로”, 제29차 전국학술대회 발표집, 한국어학회. 1. 방언에 대하여
2. 제주도 방언
3. 방언에 관한 설문조사
4. 드라마 속에서 나타나는 방언(사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예문) "홍이가 다음 달에 장개를 간다 캅니다."
="홍이가 다음 달에 장가를 간답니다."
Ⅲ.결론-방언의 발전방안 모색 및 사견
방언은 그 자체가 일정한 사회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각 지역에 기반을 두고 살아온 수많은 선조들이 땅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6.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인식
Ⅳ. 표준어와 사투리(방언)
1. 부정적 평가
2. 긍정적 평가
Ⅴ. 표준어와 사투리(방언)의 혼용
Ⅵ. 지역별 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례
1. 경상도 사투리(방언)
2. 전라도 사투리(방언)
3. 충청도 사투리(방언)
4. 제주도 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와 사투리(방언)
Ⅲ. 사투리(방언) 분화와 연구
Ⅳ.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Ⅴ. 각 지방 사투리(방언)의 특징과 사례
1. 경상도 사투리(방언)
2. 전라도 사투리(방언)
3. 충청도 사투리(방언)
4. 강원도 사투리(방언)
5. 제주도 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