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로 인정하지 아니했다. 그리고 명사도 동사와 똑같이 활용태를 세웠으며 동사에도 명사와 같이 격을 세운 점이다. 그리고 정렬모는 이러한 송하의 문법이론을 전적으로 모방했다.
<참고문헌>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고영근 저, 탑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적인 씨
④ 움즉씨 : 움직임을 나타내는 씨
⑤ 어떻씨 : 일과 사물의 바탕과 모양이 어떠함을 나타내는 씨
⑥ 잡음씨 : 이름씨와 어우러져서 풀이하는 힘을 가진 씨
⑦ 어떤씨 : 임자씨를 꾸미는 씨
⑧ 어찌씨 : 풀이씨를 꾸미는 씨
⑨ 느낌씨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암, 글쎄, 후우, 에그 등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두봉의 품사분류는 전체적으로 주시경의 그것과 아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1. 주시경의 품사분류
2. 최현배의 품사분류
3. 정렬모의 품사분류
4. 김두봉의 품사분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합 가능
ex)갓 스물, 갓 태어나다
결합범주가 명사성을 띄고 있어야 함
ex)새 모자, 새 만들다(x)
의존 형태소
자립 형태소 1. 말본의 얼거리
2. 말본범주
3. 말본의 형성배경
4. 북한의 말과 글
5. 형태소와 낱말
6. 낱말만들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렬모 해독 <정렬모 현대어 풀이>
힝리 샐 다리ㅅ 날 새는 물가
건달바의 놀아 건달바의 붉새인가
가밑 잣힝랑 빛라고 대처 큰 바닥 탐을 내여
서리ㅅ 군두 왓다 왜놈의 떼거리 몰려 왔다고
달블 싶안 까시라 수비 봉화 올린 것인가 싶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3.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