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오귀굿
1. 부정거리
2. 가망거리
3. 상산거리
4. 별상거리
5. 신장거리
6. 조상거리
7. 창부거리
8. 대감거리
9. 사제삼성거리
10. 말미
11. 아린말명
12. 도령거리
13. 베가르기
14. 영실
15. 뒷전
Ⅵ. 양주 소놀이굿
Ⅶ. 위도 띠뱃굿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 놀이
(강강술래, 고싸움, 남사당놀이,널뛰기, 농악, 사물놀이, 윷놀이, 중타기, 택견, 풍물, 연날리기)
2. 의식주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디딜방아, 한지, 짚신)
3. 세시 풍속
(춘절, 하계, 추계, 동계)
4. 예능
(음악, 춤, 연극)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0원
- 등록일 2004.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주소놀이굿, 제주칠머리당굿, 진도씻김굿, 기지시줄다리기, 풍어제(동해안별신굿,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 위도띠뱃놀이, 남해안별신굿), 석전대제, 황해도평산소놀음굿, 경기도도당굿, 서울새남굿
참고문헌
문학아카데미(1994), 한국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천체 기원설
2. 처용가무설
3. 기악설
4. 풍물굿의 잡색놀이설
5. 상대도감설
(4) 탈춤의 공동체적 신명과 변천
(5) 탈춤의 역사
(6) 탈춤의 지역적 분포와 종류
(7) 지역별 탈춤의 유래와 특징
(8) 탈춤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 사업·장사 등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바라는 경사굿의 일부로서 제석거리에 이어서 행해졌다. 보통 가을 추수 후에 신곡(新穀)맞이 경사굿에서 연행되었다.
이러한 양주소놀이굿의 연행 주체들은 크게 만신과 마부 두 계열로 나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