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1) 풍장
2) 두레
3) 굿
4) 매구, 매굿, 매귀(埋鬼)
5) 풍물, 풍물굿
Ⅳ. 풍물굿(풍물놀이)의 형태
1. 축원형태
2. 노작형태
3. 걸립형태
4. 연예형태
Ⅴ. 풍물굿(풍물놀이)의 지역분화
Ⅵ. 풍물굿패(풍물놀이패)의 짜임과 옷차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풍물놀이)의 짜임과 옷차림
풍물굿패는 보통 기수(깃발을 든 사람), 취군(나발, 날라리를 부는 사람), 앞치배(악기를 다루는 사람), 뒷치배(잡색들로서 탈놀이, 재주, 난장을 피우는 사람)의 순서로 짜여 있는데, 잡색의 경우는 왔다갔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
Ⅴ. 풍물놀이(풍물굿)의 악기 구성
1. 쇠(꽹과리)
2. 징
3. 장고
4. 북
5. 소고
6. 나발
7. 날라리(태평소)
Ⅵ. 풍물놀이패(풍물굿패)의 구성과 역할
1. 잡색
2. 치배
Ⅶ. 각 지역의 풍물놀이(풍물굿)
1. 풍물굿의 지역별 분화
1)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놀이패)의 구성과 역할
1. 잡색
1) 제의나 의식을 집접하는 사제자로서의 기능과 역할
2) 풍물패의 대장은 잡색의 우두머리
3)안전장치이자 중재자
4) 뒷패로서의 역할
2. 치배
Ⅶ. 지역별 풍물굿(풍물놀이)
1. 풍물굿의 지역별 분화
1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의 개념과 기원, 그리고 ‘大同’
2. 왜 ‘농악’이 아니고 ‘풍물굿’인가
3. 사물놀이의 탄생과 풍물굿의 변용
3-1. 풍물굿의 변용 양상
3-2. 한국 풍물굿의 재도약, 사물놀이
3-2-1. 사물놀이의 등장
3-2-2. 사물놀이의 짜임
3-2-3. 사물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