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풍물굿(풍물놀이)의 정의와 특징, 풍물굿(풍물놀이)의 구성요소와 기원, 풍물굿(풍물놀이)의 변천과정, 풍물굿(풍물놀이)의 편성, 풍물굿(풍물놀이)의 짜임과 옷차림, 풍물굿(풍물놀이)의 지역적 분화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물]풍물굿(풍물놀이)의 정의와 특징, 풍물굿(풍물놀이)의 구성요소와 기원, 풍물굿(풍물놀이)의 변천과정, 풍물굿(풍물놀이)의 편성, 풍물굿(풍물놀이)의 짜임과 옷차림, 풍물굿(풍물놀이)의 지역적 분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풍물굿(풍물놀이)의 정의

Ⅱ. 풍물굿(풍물놀이)의 특징
1. 풍물은 생산계급의 공동체적인 문화예술
2. 풍물은 총체적인 특징이 존재
3. 풍물은 민중 스스로 만들어 간다는 것
4. 풍물은 계속 변화 발전한다는 것

Ⅲ. 풍물굿(풍물놀이)의 구성요소
1. 가락
1) 삼분박
2) 이분박
3) 2.3 분박 혼합박
2. 춤
3. 진풀이
4. 잡색
5. 노래
6. 사설
7. 재주
8. 놀이
1) 도둑잽이굿
2) 등맞이굿
3) 수박치기
4) 노래굿
5) 탈굿
6) 군영놀이

Ⅳ. 풍물굿(풍물놀이)의 기원
1. 풍농안택기원설
2. 불교관계설
3. 군악설

Ⅴ. 풍물굿(풍물놀이)의 변천과정
1. 축원형태
2. 노작형태
3. 걸립(걸궁)형태
4. 연예형태

Ⅵ. 풍물굿(풍물놀이)의 편성
1. 악기
2. 편성

Ⅶ. 풍물굿(풍물놀이)의 짜임과 옷차림

Ⅷ. 풍물굿(풍물놀이)의 지역적 분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제, 추수감사제 등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풍요를 기원하고 추수를 감사하는 종교적 의식으로 행해진 것이다. 풍물굿의 기원에 중요한 뿌리가 된다.
2. 노작형태
여럿이 함꼐 농사일을 하면서 일의 율동에 맞게 노래하고 춤을 추거나 풍물굿을 치는 형태를 말한다. 이는 일을 지루하지 않게 하고 나아가 능률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앙법이 들어오면서 모내기, 김매기 때 행해지던 형태가 전형적인 노작형태라 할 수 있다. 보통 일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노동요라 하고 농사를 지으며 부르는 노래를 들노래(농요)라 한다.
3. 걸립(걸궁)형태
한 마을 또는 여러 마을을 집집마다 돌며, 그 집에 일 년 내내 탈 없이 많은 복이 들어오기를 빌어 주며 곡식이나 돈을 거두는 형태이다. 마을 단위의 공동자금을 모으는 방법이기도 하고 전문예술인 모임의 먹고 사는 방법이기도 하다. 보통 지신밟기(마당밟이) 형태로 진행되는데 집집마다 돌며 돈이나 쌀을 모으는 형식을 가리킨다.
4. 연예형태
뛰어난 재주를 지닌 전문예인(보통 사당패라 부름)들이 주로 사람들에게 보여 주기 위해 행해지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서면서 두레패 놀이에서 사당패 놀이가 나눠져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Ⅵ. 풍물굿(풍물놀이)의 편성
1. 악기
풍물에 쓰이는 악기는 타악기인 꽹과리·징·장구·북·소고와 관악기인 호적·나발이 있다. 악기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는데, 경기 북부에서는 바라를 쓰며, 영동지역에서는 소고를 소고와 법고로 나누기도 한다. 영남지방에서는 땡각이 쓰이기도 한다. 풍물은 꽹과리가 주가 되며, 꽹과리 제1주자인 상쇠가 농악대를 지휘한다.
2. 편성
풍물패의 편성은 기를 드는 기수, 악기를 연주하는 잽이, 탈을 쓰고 여러 가지 배역으로 분장하여 춤추는 잡색으로 편성되는 경우가 많다. 농악대는 고장에 따라 기수가 앞서고 다음에 잽이가 따르고, 그리고 맨 뒤에 잡색이 따르는 경우도 있다. 풍물에 쓰이는 기는 영기와 대기가 있는데, 영기는 작은 기폭에 \'영자\'를, 대기의 기폭에는 기의 종류에 따라 용·정방형의 도안·신상·신위를 쓰는데, 이를 \'신농유업\' 혹은 \'농자천하지대본\'이라 쓰는 경우가 많다.
이는 꽹과리잽이·징잽이·장구잽이·북잽이·소고잽이 순으로 행렬하며, 잡색은 고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영동에서는 무동을, 경기에서는 무동·사미·양반광대를, 남쪽지역에서는 대포수·조리중·양반·할미·각시·창부·무동 등 여러가지를 쓰기도 한다. 두레풍장에는 잡색이 없다.
Ⅶ. 풍물굿(풍물놀이)의 짜임과 옷차림
풍물굿패는 보통 기수(깃발을 든 사람), 취군(나발, 날라리를 부는 사람), 앞치배(악기를 다루는 사람), 뒷치배(잡색들로서 탈놀이, 재주, 난장을 피우는 사람)의 순서로 짜여 있는데, 잡색의 경우는 왔다갔다하며 치배와 구경꾼 사이를 이어 주면서 대체로 일정한 대열이 없이 흥겨운 춤으로 전체판의 신명을 돋군다. 잡색이나 깃발(만장기), 소고, 그리고 구경꾼이 많아야 굿이 풍성하고 힘이 넘친다.
요즘같이 사물치배 위주의 풍물굿패 짜임보다는 많은 잡색과 소고 중심의 치배 짜임이 더 바람직한 굿판으로 가는 길이다.
특히 현대판 배역과 분장, 배역 사이의 극적인 풍자성과 즉흥적인 대사 전달을 통한 구경꾼과의 호흡 등을 살리면 더욱더 실감이 나는 판이 될 것이다. 옷차림은 원래 정해진 옷이 별로 없었으나, 뒤에 와서 전문적인 풍물패(사당패, 정읍농악단, 여성농악단 등)의 등장과 도(道) 단위나 전국 단위의 민속(농악)경연대회의 영향으로, 곳에 따라 격식을 갖추게 되었다. 옷차림은 보통 흰 빛의 무명저고리에 무명바지를 입고 파란색, 붉은색, 노란색의 삼색띠를 드리는 것이었으나, 요즘에는 붉은색이나 파란색의 조끼, 또는 검정 더그레를 입고 삼색이나 이색 띠를 ×자나 /자로 어깨에 걸기도 한다. 그리고 지역마다, 풍물단체마다 옷차림이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Ⅷ. 풍물굿(풍물놀이)의 지역적 분화
풍물은 조선후기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경에 발생하여 19세기에 가장 융성하였다. 지역적으로는 두레가 보편화되었던 중부이남 지역에는 풍농굿이 발전하고 이북지방은 무굿이 많이 발전하였다. 중부이남 지역에서는 풍물이 발전하면서 마을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분화를 하였다. 풍물이 발전하면서 지역적으로도 분화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이는 풍물이 민중 스스로 생산, 유통, 향유하는 문화 예술인 까닭이다. 마을마다 조금씩 다른 풍물을 흔히 4가지로 구분하여 전라우도굿, 전라좌도굿, 영남매구, 웃다리풍물로 부르는데 이것은 정확한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권별로 편의상 구분을 한 것으로 풍물이 기본적인 형식이나 본질적인 차이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적인 특징을 간략하게는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웃다리풍물은 경기, 충청지방에서 발달한 풍물을 가리키며 특징은 상모가 발달되어 있고 장단이 빠른 것이 많으며 쇠장단이 분명하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타 지역에 비해 가락이 간단하고 소박한 맛이 있다. 경상도 풍물은 쇠가락이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 빠른 장단을 휘몰아치는 것이 힘차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다. 여기에 비해 전라도 풍물은 장구 장단이 매우 발전해 있고 느린 가락과 춤이 발전해 있다. 크게 지리산 쪽의 산간지방(좌도)과 평야지대(우도)로 나눠지며 산간지방은 힘이 있고 소박하게 치는 특징이 있고 평야지대는 농업이 발전한 관계로 판굿이 다양하고 가락이 화려한 면이 있다. 경상도가 북을 중요하게 사용한 반면 전라도는 장구를 많이 사용하여 풍물을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인정되지만 요즈음은 교통의 발달과 많은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경향이다.
참고문헌
ⅰ. 남소이, 사물놀이의 이해와 지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ⅱ. 노동은, 한국음악론, 서울:한국학술정보, 2002
ⅲ.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 아카데미, 1994
ⅳ. 박주홍, 한국민속학개론, 형설출판사, 1983
ⅴ. 이상진, 한국농악개론, 민속원, 2006
ⅵ. 한국전통예술연구보존회, 사물놀이 1, 삼호출판사, 1990

키워드

풍물굿,   풍물놀이,   풍물,   굿,   농악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7.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7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