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험결과
거리
횟수
d(㎛)
D(㎛)
S\'(㎛)
s(㎛)
a(㎛)
파장(㎛)
1
2100.0
4900
1220000
108928.571
437.5
0.6913
2
2200.0
4800
1218000
108944.544
429.3381038
0.7118
3
2100.0
5000
1217000
108952.551
447.6275739
0.7089
4
2000.0
4900
1164000
109398.496
460.5263158
0.7233
5
1900.0
5200
1165000
10938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7.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 D(㎛) S'(㎛) s(㎛) a(㎛) 파장(㎛)
2100.0 4900 1220000 108928.5714 437.5 0.6913
2200.0 4800 1218000 108944.5438 429.3381038 0.7118
2100.0 5000 1217000 108952.5515 447.6275739 0.7089
2000.0 4900 1164000 109398.4962 460.5263158 0.7233
1900.0 5200 1165000 109389.6714 488.2629108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4.19
- 파일종류 엑셀(xls)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광원과 관측점까지의 거리가 파면의 곡률을 무시 할 수 있을 정도로 긴 경우이며, 프레넬 회절은 파면의 곡률을 무시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프레넬 회절 근사공식을 사용한다. 프라운호퍼 회절과 프레넬 회절을 구별하기 위한 대략적인 기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광원 역할을 하고 서로 평행하고 규칙적인 선광원의 배열을 구성하게 된다. 회절격자는 호이겐스-프레넬 원리에 따라서 격자 표면에 서로 다른 위상으로 복사하는 파원들의 모양이 변하면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평면파 성분을 포함한다. 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광원이나 스크린에 가까워지면 스크린에 이르는 각각의 경로에 대해 광경로를 일일이 반영해야 한다. 이처럼 보다 일반적인 회절을 프레넬 회절이라 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프레넬-키르히호프 회절식의 원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