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각 2점)
(1) ‘달’과 ‘라면’의 ‘ㄹ’은 각각 다른 음소로 인식된다.
- 한국어에서 라면의 ㄹ와 달의 ㄹ는 서로 다른 음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것들을 하나의 소리로 생각하고 의사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절과 관련된 특성들을 규칙 또는 제약으로 형식화하지 못하였다.
Ⅱ. 국어 음절의 이론
1. 공명도 이론
예스페르센(Jespersen)은 각 음소들이 갖고 있는 공명도의 차이에 따라 음절이 형성된다는 이론을 제기하였다. 예시 페르센이 측정한 객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부분에 얹혀서 나타남
⑤연접(이음새) - 숨을 쉴 정도의 휴지는 아니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어붙이는 간격(강원도+산나물, 강원도산+나물)
5.음운규칙
1
분포의 제약
①어두 및 음절초에서의 제약([],ㄹ,ㄴ이 어두에 오기 힘들다. 어두자음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약의 어느 것 중 하나로 보인다. 특히 우리 국어에서는 길이가 운소이다. 또한 이음새는 여기에 두느냐, 저기에 두느냐에 따라 말뜻이 달라지며 운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5.맺음말
음운은 음소와 운소로 이루어졌으며 음성학과 음운학은 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도치
⇒ 한 단어 안에 있는 두 음소 또는 두 음절이 서로 자리를 바꾸는 현상.
ex) ‘거품’을 ‘버쿰’이라고 하는 방언
29. 이화
⇒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의 하나를 다른 소리로 바꾸는 현상
동화와 대립되는 현상 (국어에는 많이 없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