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소들이 갖고 있는 간극도의 차이에 의하여 외파음과 내파음으로 발음되는데 이 외파음과 내파음의 결합으로 음절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1) 간극도(공깃길 크기, aperture)
(2) 외파음과 내파음 : 뒷소리보다 간극 도수가 높은 소리는 내파음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라고 말하게 되는 소리로 실현된다.
‘ㄴ’이 모음 조사 앞에서 그 음가를 잃고, 그 전후의 모음에 비음의 요소를 남기는 것이다.
삼추이(삼촌이) 있으믄...
도이(돈이) 마이(많이) 든다고요.
운제 소이로(손으로) 긁을 새 있소?
② 어간말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절에 국한하는 듯하며 또 장음, 단음 역시 제일음절의 모음의 길이를 뜻한다.
고조
저조
성
조
허물(과실)
허물(껍질)
우리(돼지의)
우리(we)
새끼(짐승)
새끼(짚으로 꼬은)
고름(옷고름)
고름(상처에서)
장음
단음
음
장
눈:(하늘에서내림)
눈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7.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질
제 6장 우리말의 운율 단위
제 7장 말소리의 변화와 그 기술 방법
제 8장 음운 변화(Ⅰ): 대치
제 9장 음운 변화(Ⅱ): 탈락, 축약, 첨가
(1) 대치, 탈락, 축약, 첨가 규칙
(2) 운율 단위와 음운 규칙
제 10장 우리말 소리의 제약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절이다. 이것은 우리말에서 음소들이 모여 바로 형태소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음소들이 모여 음절이라는 층위를 이루고, 이 음절이 모여 형태소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저형의 층위에서도 음소들의 배열은 음절구조의 제약을 받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