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 억제성 개재뉴론으로는 GABA성 뉴론이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와는 달리 연수-척수 뉴론은 substance-P를 분비함으로써 억제성 엔도르핀(endorphine) 뉴론을 흥분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때 아편성 개재뉴론은 척수에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행성 억제
2. 뇌 아편계 및 뇌자극으로 인한 무통(brain stimulation-produced analgesia)
1) 아편제의 통증 억제 작용
2) 뇌자극에 의한 통증 억제 효과
3) 아편계와 뇌자극에 의한 무통 사이의 관계
3. 통증에 대한 아편계 이외의 자극에 의한 억제
통증 통각계, 분자생물학 침술, [통증, 통증과 분자생물학, 통증과 통각계, 통증과 침술, 통증과 마사지, 심상요법, 뇌, 무기력]통증과 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행성 전도로인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와 온도감각, 통각 등의 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상행성 전도로인 외측척수시상로(lateral spinothalamic tract)가 있다. 또한 근육, 관절 및 피부에서 시작되는 흥분을 소뇌에 전달하여인체의 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행성 신경섬유는 주변부에 존재한다. 신선한 표본의 단면을 염색하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하면 세포체의 영역은 회백색으로 보여 회백질 (gray matter) 이라고 한다. 회백질의 측각보다 중심부쪽 부분을 중간부 (pars intermedia) 라고 한다.
척수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행성 조절
● 치료적 효과
1. 전기적으로 감각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제거 및 조절
2. 약간의 미열효과와 마사지 효과
3. 근경축 완화 효과(근위축 방지 효과 없다.)
● 적응증
1. 통증을 동반하는 근골격계 질환및 손상 관절의 염좌, 활액낭염,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