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회마을의 자연환경
1) 하회마을의 지형과 기후
2) 하회마을의 사면향별 가옥분포
4. 하회마을의 풍수 지리적 형국
1)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2)행주형(行周形)
5. 나서며
<참고문헌>
<그림 출처> 1. 들어서며
2. 삼남(三南)지방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 안동문화권
Ⅳ. 안동 ‘하회마을’
1. 지리적 특성
2. 하회마을의 내력
3. 하회마을의 고택들
Ⅴ. 안동 ‘병산서원’
Ⅵ. 안동의 풍수지리
1. 풍수지리적 관점에서의 안동
2. 안동의 전통가옥이 ㅁ자형인 이유
Ⅶ. 결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회마을 등이 이에 속한다.
민속자료는 문화재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한 지정문화재 중에서 시도지정문화재에 속하며,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지 않은 문화재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지방자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옥이다. 이 큰 길을 중심으로 마을의 중심부에는 유씨들이, 변두리에는 각성(各姓)들이 살고 있는데, 이들의 생활방식에 따라 2개의 문화가 병존한다. 지금까지 보물이나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가옥은 양진당(보물 306), 충효당(보물 414), 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회별신굿 탈놀이
8. 병산서원
9. 북촌댁
10. 원지정사
11. 빈연정사
12. 류시주가옥
13. 옥연정사
14. 겸암정사
15. 남촌댁
16. 주일재
17. 안동하회마을
18. 하동고택
Ⅲ.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Ⅳ.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Ⅴ. 안동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