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인돌의 형식과 구조, 한국고고학회, 1990
◎ 최민정, 임진강유역의 고인돌 연구, 세종대학교, 2005 Ⅰ. 개요
Ⅱ. 고인돌의 의미
Ⅲ. 고인돌의 형태
Ⅳ. 고인돌의 분류
1. 북방식 고인돌
2. 남방식 고인돌
3. 개석식 고인돌
Ⅴ. 고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문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한다.
참고문헌
1.고조선과 고구려 이전 지음
2.고조선 우리의 미래가 보인다. 윤내현
3.아틀라스 한국사
4.http://home.hanmir.com/~kgoindol/study/stubody.htm 1.고조선에 관해서
단군은 누구이며 실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사 이야기1(우리민족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 이이화 / 한길사 / 1998 1. 서 론
2. 본 론
1) 고인돌이란?
2) 우리나라 고인돌의 기원
3) 형태에 따른 분류
(1) 북방식 고인돌
(2) 남방식 고인돌
(3) 개석식 고인돌
(4) 껴묻거리 고인돌
3.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문에, 이들을 각각 북방식 고인돌과 남방식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이 밖에도 지하에 묘실을 만들었으나 남방식 고인돌과는 달리 돌을 괴지 않고 묘실 위에 상석을 바로 올린 고인돌도 있는데, 이를 개석식 혹은 변형 고인돌이라고 한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 (북방식)
● 개석식(고인돌하부)
● 남방식 고인돌 군 (전남해남)
● 강화 마니산 고인돌
● 완도 장군배기 고인돌
참고문헌
고인돌 이야기 - 이영문, 다지리
한국 생활사 박물관 02 「고조선생활관」
-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